디자인문화비평

디자인문화비평01 (1999)

開土_getto 2013. 9. 9. 11:42

한성대 김성복 교수(패션비평)와 함께 공동편집인으로 '디자인문화실험실'을 설립하고, 


1999년 제1호부터 2002년 제6호까지 열정과 정성으로 펴냈던 한국최초의 디자인문화비평지.


창간호에 담긴 예리한 칼날로 베어진 제호와 표지 이미지는 한국의 디자인 문화를 해부하는 선언적 의미.

 

기획/편집: 김민수, 김성복(디자인문화실험실)

발행: 안그라픽스, 1999

ISBN_89-7059-116-8

 

 

 

[목차]

 

김민수(편집인)    창간사: 디자인문화비평이 독자에게                         04

 

 

진형준    디자인, 이미지의 제국: 인문학으로 본 이미지의 가치             12

 

<특집> 우상과 허상을 넘어서

 

1. 이정구    도상과 우상: 이미지로 문화 읽기                                     26

 

2. 성완경    한국 공공미술의 허상과 위기: <아마벨>사건의

                역설적 교훈                                                                  34

 

3. 김민수    호돌이의 뿌리와 그림자: 한국 그래픽디자인의 정체성         52

                                                                  

4. 최정화    그림 이야기: 막말                                                         72

 

5. 이영범    건축, 문화을 담을 것인가, 아니면 문화를 닮을 것인가         88

 

6. 김성복    무지의 맞대결: 밀가루와 농약 vs. 패션과 미술/예술의상    106

 

7. 김선정    새로운 감각에의 도전: 본다는 것을 넘어서                       122

 

 

<창작과 불평> 

 

배영환                                                                                        130

 

 

<디자인과 삶>

 

최혜실    대중광고 이미지의 문학적 상상                                          140

 

서정남    영화에 나타난 디자인과 라이프스타일                                 154

 

 

<비교문화비평>

  

알레산드로 고마라스카

 

    일본 만화, 난 이렇게 본다: 철갑옷의 영웅들과

    테크노 오리엔탈리즘                                                     170 

 

 

[창간사 중에서]

 

"이제부터 우리는 인공적 생산물 환경에 의해 우리의 '일상 삶과 문화'가 어떻게 생성되고

소비되는지에 대한 본격적인 이야기를 시작하려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디자인문화비평'

이라는 다소 낯설은 주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디자인은 생활에 필요한 도구, 상품, 그래픽, 건축물과 도시를 만드는 작업이면서 일상삶의

의미와 상호작용을 드러내는 '실천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디자인은 사람들이

무엇으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대중문화의 상태를 가늠할 수 있는 가장 구체적인 '진맥점'인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디자인과 대중문화 사이의 관계를 '디자인문화'라 부르고자 한다. 따라서

디자인문화비평이란 모든 인위적인 생산물(제품, 시각커뮤니케이션, 광고, 패션, 뉴미디어,

만화와 애니메이션, 건축, 도시 등의) 환경을 '문화적 텍스트'로 간주해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일상삶의 의미와 실천방식을 이해하고 창조하고 소통시키기 위한 새로운 학제적 통합연구를

뜻한다."